'국밥 맛집' 태그의 글 목록 :: 미네스의 달콤한 취미 비즈니스 이야기
반응형
728x170

작년에 정말 힘겹게 시간을 지새우고

올해도 생각치도 못하게 ING인 중이다.

직장문제에 집문제...

어느정도 해결을 했더니 다른곳의

문제는 계속 터지고 그러다 보면 가끔씩 혼술로

여유를 부리고 싶은데도

그럴 여력이 생기지 않는다.

 

그런 와중에 결국 업무적 파토를 내고 

마침 밥을 먹어야겠다고 생각했다가 생각나서 다녀온곳

 

 

신당역 바로 근처에 위치한 

흔히 얘기하는 힙당동 그 곳 맞다.

그 곳 중앙시장 바로 인근에 위치한 

팔팔너구리해장

(24년 11월 중 방문)

 

300x250

 

 

흡사 농O의 모 브랜드마냥 이름이

그 모 라면 이름이 생각나게 만드는 느낌인건

어쩔수 없을듯 하지만...!!?

필자가 굉장히 눈에 들어왔던 것은 바로 

너구리우동국밥.

사실 인스타에서 몇변 봤던 메뉴라서 생각만 하고

못왔다가 이번기회에 선택!

매장은 협소하지도 않지만

그렇다고 넓지도 않은 수준

 

 

자세한 메뉴는 이렇게 나와있따.

해장국과 순살국밥도 있는데

여기의 시그니쳐 메뉴는 너구리우동국밥 같았다.

우동면발이 들어간 국밥..

사실 별거 아닌듯한데 이런 

바리에이션을 잘 안하는건

사실이란 말이지...

 

 

여느 국밥집이랑 다를거 없는 구성.

깍두기... 그리고 생소한 구성..

고추지 무침 같은데 새콤하면서 매콤해서

느끼한 맛을 잡아주는 클렌징 역할의 느낌?

 

반응형

 

 

드디어 받아본 너구리 우동국밥.

일단 비주얼은 얼추봐도 걍 국물도

묵직하고 빨간게 얼큰해 보였다.

당시의 추웠고 서러웠던 기분이

어느정도 풀리는 느낌

 

 

이런 비주얼을 보노라면 사실...

소주랑 같이 먹어야 한게 맞는데 다음날의

출근이 있어서 그럴수는 없었고 빠른 시간내로

집으로 복귀해서 씻고 자야했기에

결국 술은 뒷전으로 미루고 국밥만 조지기로 결정.

 

 

참... 힙당동 신당동 이렇게 불리고

맛집 많다고 하지만 이런 생소한 비주얼..

국물은 흔히 알만한 묵직한 고기국물인데

우동면 하나 들어갔다고 참 느낌이 다르다.

별거 아닌데도 아이디어 느낌

 

 

그리고 나름대로 내장들도 

튼실하게 들어간 구성에 밥이 말아져서

토렴?까진 아닌듯 하고 같이 국물과

부어져서 나온 느낌이다.

 

그렇다... 필자는 국밥충이 아니다.

밥말아먹는거 극도로 싫어한다.

밥은 따로 줄수 있음 참 좋을텐데 말야...

 

 

면도 먹고 밥도 먹고 내장고기도 먹고

이거 나름대로의 구성이 너무 좋다.

얼큰하니 미칠도록 녹는 몸에

서러웠던 마음 잘 녹여졌다.

 

완뚝은 했지만 아쉬움이 가득하다..

왜냐고? 무릇 술쟁이들은 그리 얘기하지.

왜 소주가 없냐고!!??

이런 짬뽕된 극강조합에 소주가 없다니..

이건 오밤중에 짬뽕시켜놓고서

소주없이 먹는 반칙행위와 같은법...

반응형
그리드형
반응형
728x170

ㄱ필자에게 있어서 제일 싫은 것 중 하나.

바로 뼈에 붙은 고기를 뜯어서 먹는 것이다.

 

손에 묻는것부터 시작해서 

옷에 튈까봐 조마조마 해야하는 그런

행동들 자체가 너무 싫기도 하고 

음식에 집중하다가 다른 행동으로 인해서

음식에 집중력이 흐트러질 수도 있기에

별로 좋아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뼈해장국이나 감자탕이 그렇다.

그런데 이 날은 왜 들 갑자기 뼈해장국을

먹으러 가자고 하는데 뼈해장국이 기가막히다고

아우성 하길래 어쩔수 없이 다녀 온 곳.

 

서울 신림역 대림천 쪽에 위치한 서울 뼛국

뼈국도 아닌 뼛국이다.

정말 자그마한 가게였다. 

흔히 얘기하는 감자탕도 아닌 뼈다귀 해장국이라고 한다.

 

그러고 보니까 그 우스갯소리가 기억난다

외국인들이 간판을 보고 놀랄때가

할머니뼈 해장국...

할머니의 뼈로 만든 해장국이라고 하는데

대체 그런 끔찍한 음식을 왜 먹냐고...

 

생각해보면 언어를 단순히 해석하고 

그 나라의 습관을 아직 받아들이지 못하면

이런 오해가 생기는건 당연한 지사다.

 

 

 

 

심플하기 그지 없는 메뉴판.

오로지 뼛국과 뼛찜 뿐이다.

뼛국은 결국 뼈다귀 해장국.

흔히 판매하는 감자탕식 전골 메뉴는 존재 자체도

안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너무 맘에들었던 것중 하나..

주류가 모두 4천원이다.

그렇다는건 맥주도 4천원, 청하도 4천원이라는

의미인데 이건 이거대로 굉장한 가성비 아닌가?

 

 

일단 소주파와 비소주파가 나뉘어져서

일단 소주를 한잔 까고 시작하도록 했다.

 

필자가 생각보다 뼈해장국을 좋아하는 편이 아니고

실제로 필자의 블로그에서는 뼈해장국 다녀온 곳의

후기는 전무할 정도인데 이렇게 소주까지..

 

그것도 클래식한 빨간뚜껑이다.

 

어쩌다 보니까 이제는 빨간뚜껑도

잘 먹는 노친네가 되어버린 필자의 입맛...

 

무튼 같이 온 사람들이

이 곳은 진짜 찐 가성비 맛집이라고

그렇게 극찬을 하니 믿어보고

필자의 손놀림 노동을

한번 열심히 먹어보도록 한다. 

 

 

드디어 나온 뼛국.

필자가 얘기하는 뼈해장국.

어라라...? 들께가루가 없네? 실제로도

이 곳 신림역 서울뼛국에서는

그딴거 안키운단다. 

 

그만큼 국물에 굉장한 자부감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해도 되는건지 모르겠다.

 

 

오로지 빨간 국물과 청양고추 조금

그리고 우거지가 같이 어우러진 

전형적인 뼈해장국의 비주얼.

다만 들깨가루가 안들어가 있어서 국물의 

걸쭉함 보다는 조금 더 탁탁 끊어지는 

국물 맛이겠구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밥은 무한리필.

다만 필자는 탄수화물을 줄이는 입장이기에

쌀밥은 기본 밥보다는 조금 더 적게 먹고

기본 제공된 밥은 양이 적다고 미리 얘기해준다.

 

밥이 모자라면 더 가져와서 먹어도 된다고 한다. 

 

 

 

우선 잘 끓여진 뼛국 뚝배기에서

뼈다귀 하나를 건져 올려본다.

 

크아... 살이 이렇게 실하게 붙은건

정말 오랫만에 본다. 

 

잡내나 누린내도 전혀 안났다. 

 

뼈를 잘 삶아서 그런건지 살도 잘 발라졌다.

물론 잘 발라질 뿐이지

뼈 바르는 과정에 노동이 안들어가는 것은 아니다.

무조건 노동은 필수이다.

 

일 안하는 자 먹지 말라는 의미처럼 말이다.

 

 

그리고 우거지.

뭐 얼마나 된다고 이 우거지를 

돈내고 추가까지 할까 생각이 들었는데

오... 우거지가 생각보다 질기지도 않고

술술 잘 넘어가는게

이거 고기하고 컬레버레이션을

이루면 소주 한잔 벌컥벌컥

잘 들어가는구나

라는 생각을 갖게 하는 맛이었다. 

 

왜 이곳이 뼈해장국 맛집이라고 멀리서도

찾아오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무엇보다 필자가 정말 깜짝 놀랬던 점 중 하나.

들깨가루가 없어서 국물에 이질감이

느껴지는거는 아닐까 라는 생각을 가졌는데

얼라리요? 그런 걱정 따윈 1도 필요없었다.

 

굉장히 고소하고 뭔가 맑은듯 진한듯 한 맛인데

들깨가루 없이도 이 국물... 잘 넘어가게 만들었구나

싶은 생각이 들 정도로 맛있었다.

 

밥말아 먹는 습관을 버린 필자의 입장에서

밥에 한숟가락 해서 먹어봤는데

조화가 매우 좋았다. 

 

 

왠만하면 국물을 다 안마시려고 했는데

너무 맛있어서 생각치도 못하게 소주와 반주하면서

계속 국물과 고기를 먹다보니 피니쉬..

 

가격도 요즘 계속 9천원까지 오른 곳들과 짜디짠 

자극적인 뼈해장국 감자탕들 생각해보면

여긴 정말 자극적이지도 않으면서도 재료의

본연의 맛을 잘 살렸구나 싶은 생각이 들게

만드는 뼈해장국임을 알 수 있었다.

 

아, 아니다. 뼛국이다 뼛국.

들깨가루는 빼버린 혁신적인 해장국.

형식의 틀에 박힌 사고를 깨 준 해장국이었다. 

 

반응형
그리드형
반응형
728x170

날이 추워지고 어느샌가

올 한해도 1달밖에 안남은듯 하다.


하지만 작년의 연말 분위기와는 달리

올해의 연말 분위기는 정말 새로운

뉴노멀 시대라고 표현하듯이

모임도 거리두기에 여행도 거리두기..


원래같았으면 여행을 꿈꾸거나

모임을 꿈꿔왔던 사람들이 

꽤나 많았을 듯 하지만

올해는 애저녁에 다 접은듯 하다.


그런 기대감은 다들 풀이 꺾어버리고

적적함으로 달랠 시기 필자도 똑같이

적적한 마음으로 일삼다가 

마침 가족들이랑 가까운 곳에서

간단한 끼니를 때우려고 다녀온 곳.



장한평역에서 조금 올라가면 장안동 사거리

인근에 위치해 있었던 이승은 백년국밥 이라는

곳에서 식사를 하고 온 후기이다.


오픈한지 얼마 안됐는데 아버지의 아는분이

오픈 하신거라서 겸사겸사 다녀온 곳이기도.


사실 장한평역과 장안동이

맛집 소리를 들을만한 곳이 손에 꼽을 정도로

많지는 않은 곳이긴 한데

한끼 든든하게 때우기에는 괜찮을 듯 싶었다.



오픈한지 얼마 안되어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전체적으로 깨끗한 모습

그리고 메뉴판.


메인 메뉴로 봐서는 소고기 국물을

베이스로 한 국밥이 메인인듯 하다.


오픈한지 얼마 안됐다고 하는데 과연 맛은

어떨지 궁금해진다.







기본 찬거리는 대략 요래요래..

부추 무침에 콩나물이 들어가는건

처음 본 듯 하다. 


특이하게도 들깨도 들어가서

고소한 향기가 났던 느낌.


국물을 마시다가 느끼할때는

느끼함을 가시게 해주는 효과라고 해야할까.


전체적으로 반찬은 여느 국밥집과 다를거 없고

반찬은 적절하게 괜찮았다.




드디어 나온 국밥

필자가 시킨 국밥은 소고기 백년국밥

여기의 시그니처 메뉴인듯 하다.


펄펄끓어오르는 움짤만 봐도

추웠던 몸이 녹아드는 느낌은

착각이 아닐 것이다.


그러고 보니까 국밥하면 생각나는게

국밥충이라는 단어가 떠오른다.


비싼 파스타니 뭐니 그런거 먹느니

국밥 n그릇 이라고 하는 드립이 있는데

그러고 보면 국밥은 서민의 음식이 맞는듯 하다.


정말 형편없게 만들지만 않으면

국밥충들에게는 국밥은 어딜 가던 맛집이니까.


과연 여긴 어떨까..







우선적으로 들어간 구성물로 봐도

고기는 굉장히 실해보였다.


가격을 생각해보면 납득은 되지만

고기가 꽤나 많다고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고기를 맛봤을때의 느낌은

이건 국밥충들을 위한 것도 있지만

주당들이 좋아할만한 야들야들하고

잘 삶아진 수육의 느낌이었다.


그리고 국물은 맑은 곰탕의 느낌.

오히려 자극적이지 않고 맑아서

부담도 적고 딱 알맞았다.



그렇게 피니쉬샷 한장 남기고 끝!


필자는 국밥충은 아니지만

동생이 엄청난 국밥충이라 깨끗이 비웠다.


필자는 원래 밥보다 국물을 좋아하는 편인데

여기 국물 정도면 맛있게 잘먹었다고 할 수 있었다.


메뉴상에 소고기 수육은 보이지 않았는데

왠지 여긴 소고기 수육을 따로 내어 팔면

주당들이 꽤나 좋아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든다.


몇십년 노포의 수육 설렁탕 맛집들도

사실 가보면 기대 이하인 경우가 많은데

여기는 오히려 기대를 안한거에 비해서는

만족도가 꽤나 있었다.


한그릇 잘 먹었으니 이제 겨울 날 준비 해야지..




반응형
그리드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