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네스의 달콤한 취미 비즈니스 이야기 :: 미네스의 달콤한 취미 비즈니스 이야기
반응형
728x170

지난번에 이어서 백종원 스트리트 푸드파이터 맛집 정보이다. 후쿠오카 자유 여행을 계획하는 사람들에게는 나름대로의 새로운 참고가 될 수 있는 정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한번 쯤은 참고를 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지난번과는 또 다른 메뉴들이 펼쳐지기에 나름대로의 기대를 해봐도 좋을 것이다.




1. 탄가시장 대학당 

이 곳은 흡사 우리나라에 있는 종로 통인시장과 같은 방식의 식당이라고 볼 수 있다. 

대학당이라는 돈부리 전문점이 있다. 

일정 금액을 내고서 먹고싶은 반찬이나 사이드 디쉬등을 사오면 되는 방식으로 밥과 국물만 이 대학당이라는 식당에서 구매한 후에 자유롭게 시장에서 사온 것과 같이 먹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일단 이 곳의 여행 방문계획을 가지고 있다면 키타큐슈인 고쿠라 역의 방문 계획과 같이 묶어야 한다는 점이다.

탄가시장은 탄가역에 위치해 있으며, 탄가역 바로 근처에 위치해 있다.



http://www.daigakudo.net/daigaku/don.html



2. 고마카페 마루니



이 곳은 주로 고마 (깨의 일본어를 의미한)를 주제로 한 음식이 주류를 이루는 식당이다. 이 곳에서 백종원은 카레정식을 먹은 듯 했다. 

캐쥬얼 카페의 느낌이 물씬 풍겨지는 만큼 아무래도 양식 계열의 식사가 주를 이루는 곳이다.


여기 위치 참.. 애매모호하다. 니시테츠 히라오 역에서도 조금 걸어야 하는 위치이며, 하카타역에서 캐널시티 구경하고 난 후에 이동하기도 애매모호 하다. 

나카스 강 근처임에는 틀림없지만 그 나카스 강 길이가 얼마나 긴데;;; 뭐튼 좀 고민이 필요할 듯 싶다.




https://tabelog.com/kr/fukuoka/A4001/A400103/40035001/





3. 하카타 사바테츠



사실 후쿠오카가 고등어의 자부심을 가지고 있기보다는 고등어가 먹기 용이한 위치여서 고등어가 유명한 것 뿐이다. 

다만 고등어 회는 정말 기회가 있을때 먹는 것이 좋다. 

고등어 자체가 성질이 더러워서 금방 죽기 때문에 신선한 회로 먹기가 정말 어려운 음식이기 때문이다.


여기 위치는 캐널시티 하카타를 구경하고 나오는 길이나 가기전에 방문해도 좋은 수준의 위치에 있다. 

하카타역에서 가까우며, 근처 하카타역에 숙소를 잡는다면 다녀오기 용이하다.



https://tabelog.com/kr/fukuoka/A4001/A400101/40042670/




반응형
그리드형
반응형
728x170

지난 한달전에 백종원이 tvN 스트리트 푸드 파이터를 주제로 맛집에 대한 정보를 올렸었다. 오늘도 그 프로그램에서 후쿠오카를 다녀온 것을 기반으로 백종원 더본그룹 대표가 다녀온 식당들의 정보를 제공하려고 한다.


다만, 개인적으로 도쿄편에 대비해서 고독한 미식가를 즐겨 보는 사람들한테도 익숙한 곳이 보일 수도 있고 몇가지 누락된 듯한 느낌이 있어서 오히려 도쿄편에 비하면 내용이 부실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스트리트 푸드 파이터를 했다면 오사카를 배경으로 했으면 훨씬 많은 이야기가 나왔지 않았을까 라는 아쉬움을 가져본다.



이렇게 후쿠오카에 왔다는 이야기로 시작이 된다. 

현을 기준으로 했을때는 약 500만, 시를 기준으로 했을때는 약 150만으로 한국으로 치면 수원 수준의 인구라고 볼 수 있다. 

그만큼 작은 도시라고 할 수 있지만 볼거리는 충분하다. 

오히려 도쿄나 오사카의 정신 없는 도시의 느낌에서 벗어났다고 할 수 있다.


1. 니시진역 한입교자 야오만


첫번째 소개된 맛집 식당은 한 입 교자로 소개된 식당인데 정식 명칭은 니시친 5쪼메 야오만 이라는 교자 전문점이다. 

물론 교자 외에도 볶음밥, 튀김, 라멘 등 간단하게 술한잔 하기 좋은 메뉴들이 다양하게 있는 곳이다.


위치는 모모치해변과 후쿠오카 타워, 소프트뱅크 호크스 야후돔이 있는 니시진역에서 조금 거리가 있는 곳에 위치해 있지만 찾아가는데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 

여행 코스 짤때 고민해 보도록 하자. 



https://tabelog.com/kr/fukuoka/A4001/A400203/40029331/


2. 간소 나카하마야 라멘 돈꼬츠 라멘 전문점 



돈꼬츠 라멘의 발상지인 후쿠오카 답게 이러한 라멘집이 굉장히 많기로 유명하다. 

다만, 백종원이 다녀온 이 곳이 진짜 돈코츠 라멘의 원조라고 하기에는 거리가 다소 먼 식당이라는 실제 평이 있다.

물론 맛은 그래도 꽤 훌륭한 라멘집이기 때문에 조금 무리를 해서 가볼만한 가치가 있을 수도 있다.

일전에 나 미네스가 작성했던 하카타 라멘 젠과 같은 느낌의 라멘집이라고 보면 쉽게 해석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 위치 참 애매모호하다. 

오호리공원역과 아카사카 역 사이인데 어느 곳으로 가도 먼 곳이다. 

조금 일부러 마음 잡고 가야하는 라멘집이기에 조금 고민을 해봐야 할 수 있을 것이다.


https://tabelog.com/kr/fukuoka/A4001/A400104/40006844/



반응형
그리드형
반응형
728x170

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 다른듯 하면서도 같은 문화와 생활. 그리고 식습관까지 다른듯 하면서도 똑같은 국가라고 할 수 있다. 1년에 거의 수번씩을 다니는 일본이지만 후쿠오카는 상대적으로 도쿄에 비해서는 자주 간 듯 하면서도 적게 간 느낌이 드는 지역임에는 틀림없다. 오늘은 그런 일본 후쿠오카 여행에서 만날 수 있는 일본 드라마 고독한 미식가에도 나왔던 우동 맛집인 미야케 우동의 후기이다.


특히 이 포스트가 올라간지 약 1년이 지난 2018년 6월 4일 방영된 tvn 스트리트 푸드 파이터에서 백종원이 다녀온곳으로도 한번 더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그 날짜를 기점으로 일부 사진이 추가됨)


고독한 미식가의 이노카시라 고로. 2018년 6월에는 슈가보이 백종원이 스트리트 푸드 파이터로써!?


사진 설명 : 스트리트 푸드 파이터 백종원 vs 고독한 미식가 이노카시라 고로


외관은 이런 모습이다. 정말 우동집이라고 알지 못하는 이상은 찾기 힘들 것이다. 그나마도 드라마에 나왔을때는 저 하얀색의 등이 낡은 채로 방치돼 있었으나 미네스가 방문했던 시기에는 깔끔하게 새로 교체해놨던 시기였다. 

수수한 분위기의 분주한 내부


당시의 방문시간은 정오를 좀 넘은 약 12시 40분경. 역시 점심시간이다 보니까 직장인들이 삼삼오오 모여서 점심을 후다닥 해결하는 사람들로 발디딜 틈이 없었다. 나 또한 혼자 간 상태. 당시 그렇게 배는 안고팠으나 그래도 심플 이즈 베스트라는 느낌에 우동의 맛을 놓치기 어려워서 우동이라도 맛보기 위해 갔던 상태이다.



시즌 4에 나왔었다는 가게임을 입증하는 고독한 미식가 포스터


저 포스터를 보라. 고독한 미식가 드라마에도 나왔던 가게에 걸맞게 이노카시라 고로 (배우명 : 마츠시게 유타카)가 흐믓하게 웃고있는 모습이. 이 가게도 초반에는 입소문으로 오던 곳 같은데 TV에 나오고 난 이후로 나같은 외지인들도 많이 찾아오는 듯 싶었으며, 실제 대만 사람들과 대한민국 사람들도 보이곤 했다.


뽀얀 심플한 우동과 덴푸라


내가 시킨 메뉴는 마루텐 우동과 고보텐 추가. 이나리(유부초밥)도 시키려고 했으나 배가 불렀기에 우동만으로 일단 충분히 분위기를 느끼겠다는 생각으로 요러하게 시켰다. 맛은 굵은 면발과 의외로 진한 국물과 더불어서 고보텐(우엉튀김)의 조화가 색다른 느낌이었다. 원레 저런 튀김을 돔베이라고 부르기도 한데 내 일본어가 영 발음이 별로였나. 저 서빙 받던 아저씨가 내 말을 잘 못 알아 들었다. 안타깝게도. 뭐 이런 것도 여행의 묘미 아니겠어? 


웨이팅은 그렇게 길지 않았으며, 심플한 우동맛임에는 분명했다. 제일 기본적인 마루텐우동과 그밖에 토핑(몇개 없음)을 추가로 시키면서 먹는 사람들이 많았다. 후쿠오카 시내에서 멀지 않으며,(나카스카와바타역과 기온역 사이) 역앞에 위치해 있기에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어쩌다 보니까 백종원이 이노카시라 고로 (마츠시게 유타카)가 다녀간 그 미야케 우동을 백종원이 한번 더 다녀올 줄이야.. 고독한 미식가로 시작해서 2018년에는 스트리트 푸드 파이터로 한번 더 다녀온 곳으로 된 미야케 우동.


시간이 된다면 정말 Simple is Best가 무엇인지 알게 해주는 식당으로써의 방문가치가 생길 것 이다.




가격대 : 400~700엔대 

주소지日本, 〒812-0036 福岡県福岡市博多区上呉服町10−24

(후쿠오카시영 지하철 하코자키선 고후쿠마치역 하차후 5번출구에서 도보로 약 2분)


반응형
그리드형
반응형
728x170

얼마전에 돌아가신 할머니의 49재를 지내기 위해서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모셔져 있는 임실 호국원에 다녀와야 했다. 

다양하게 음식을 준비한 직후에 제사를 지내고 그 다음에 간단하게 차려온 제삿밥은 나눠서 먹는다고 하지만 부족하기도 하고 워낙 소금기 없이 하는 특성성 식사가 되기는 싱거운 법이다.



이렇게 맑은 하늘이 아닌 눈을 감고 그저 이 좁고 작은 건물 안에 누워서 영면을 취해야 하는 슬픔은 이루 말할 수 없는 법이지만 그래도 두분 덕분에 서울이 아닌 간만에 맑은 공기를 만끽 하고 간다고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된다.


임실하면 치즈가 생각나지만 치즈는 뭐 그다지 생각도 안나고 마침 중국집이 하나 있길래 들어가 보게 됐다.



겉보기에도 연식이 꽤나 오래된 듯한 느낌의 중화요리 전문 중국집 인듯 하다. 

수타면 전문이라고 하는 태복장. 

임실 호국원에서 차로 약 5분 정도 가니까 보이더라고. 

정말 구성지게 생긴 건물이다. 일단 들어가 보자.



딱 봐도 임실군민들이 많이 오는 듯 했다. 

개중에 호국원 들렀다가 임실 시내에 많이 모여있는 다슬기집은 가기 싫어서 짜장면이나 한그릇 하러 오는 사람들이 좀 많은 듯 했다.

꽤 나이 드신 분들이 많은 듯.


메뉴는 기본적인 것들은 보이나 군만두는 없댄다. 

짜장면이나 짬뽕류는 저렴한데 상대적으로 탕수육이 좀 쎈편.



정말 옛날집 느낌 고스란히 느껴진다. 

세월에 빛바래 누래진듯한 옛날 메뉴판. 

그리고 뭔가 오래되어 보이는 벽지 인테리어. 

그리고 반찬으로 주는 김치는 완전 전라도식의 잘 삭힌 느낌의 김치이다.

더불어서 달력도 아니고 365장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는 일력까지. 

지금 일력 보기 힘든데 아직까지 시간이 멈춘곳 있을 줄은 몰랐다.


아.. 그래도 농사짓는 영감님들도 짜장면 먹다가 스마트폰으로 카톡은 하시더라... 


어찌됐건 우리의 선택은 삼선짬뽕과 간짜장.
그냥 짜장면을 시켜 먹어볼까 했는데 해물 가득하고 바로 볶아진 신선한 짜장면을 먹고싶다고 하시는 우리 어른들을 위해 맞춰보도록 하자.



으아니~!!챠! 왜 들어간거야! 오이!!! 

우리 막내 어르신 말씀에 따르면 완전 시골오이라고 한다. 

그러면 뭐하노. 내 눈에는 그냥 악마의 육봉을 깎아서 만든 쓰레기 더미일뿐.. 

일단 쓰레기 더미는 싹 다 치워내고 갓 볶아져 나온 짜장을 부어 보자.



비벼서 나온 비주얼은 이런 모습. 면이 참 투박하다. 

지난번에 양재역에서 먹었던 명동칼국수의 그 고소하고 자극적이지 않은 짜장면의 맛이 떠오르긴 했지만 여기는 미묘하게 시큼한 맛이 났다. 

뭔가 식초의 성분이 살짝 들어간 듯 한데 뭐였을까..




드디어 그 의문스러움의 삼선짬뽕이 나왔다. 

조개나 그밖에 해물은 나름 튼실하고 가득가득 나온 느낌. 

짬뽕은 그 자리에서 끓인 듯한 느낌이 난다. 

딱 봐도 얼큰하지는 않고 자극적이지 않겠다는 느낌.


다만 생각외로 그렇게 맛있는 느낌은 아녔다.


면의 경우는 그냥 기계식으로 하셨으면 더 좋았을 법할 정도로 면이 그렇게까지 잘 뽑아진 면의 느낌은 아녔다. 

두 노부부가 주인으로 계신듯 한데 면이 투박하면서도 유화제 같은걸 안넣었기에 덜 쫄깃하긴 하지만 그 만큼 잘 치대야 나오는 면이기에 다소 이 점이 아쉬웠던 듯 했다.


짜장의 경우는 오히려 내 개인적으로는 아쉽지 않았다. 

같이 온 두 어르신은 좀 불만이 있어 보였지만 그냥 내 개인적으로는 맛있다고 보긴 어려워도 쏘쏘한 수준의 준수한 고소함.


짬뽕이 좀 문제였던게 확실히 얼큰한 맛보다는 해물 장칼국수를 먹는 느낌이 들어서 내가 짬뽕을 먹는건지 장칼국수를 먹는 느낌인건지 모를 정도였다. 

고추기름의 얼큰함과 웍에서 확 불맛을 살린 느낌은 온데간데 없고 오히려 된장맛으로 짬뽕 맛을 낸 느낌?


입맛은 각자 개인 취향과 다를 수 있다. 내 주관적인 견해일 뿐이다. 

난 전문적인 미식가가 아니고 편식주의자일뿐.. 

누군가는 맛있다고 할 수 있고 누군가는 별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어찌됐건 엄청 수수하고 옛날 느낌 물씬 풍겨졌던 임실에서의 첫 중화요리 후기였다.


<직접 돈 주고 사먹은 후기임>





















반응형
그리드형
반응형
728x170

수원에서 나름 오랜 기간 활동했다고 자부하던 나 미네스이지만 이렇게 큰 공간이 있을 줄은 꿈에도 몰랐다. 팔달문쪽으로 나오면 만날 수 있는 화성행궁. 그리고 수원 남문시장과 지동시장. 통닭골목. 팔달문시장 등 어마어마하고 거대한 공간의 문화재 공간을 만날 수 있는 곳을 볼 수 있을 것이다.


今日は京畿道水原に位置した華城行宮の訪問記です。 


ここにはユネスコ世界遺産に登録された華城行宮だけでなくさまざまなデザインの小物も販売する路地と韓国の伝統市場に会うこともできます。



바로 이쪽이 화성행궁의 모습이다. 수원역에서는 버스로 약 10분 정도면 도달할 수 있으며, 민속촌에서는 버스로 약 15분 정도면 도달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혹시라도 외국인들과 같이 오기에는 무리가 없을 듯 하다. 


水原(スウォン)駅ではバスで10分の距離。 民俗村ではバスで15分の距離に位置した華城行宮。ソウルでは、舎堂(サダン)駅で出発する7770バスで30分くらいで到達可能です。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수원 화성행궁. 경복궁과는 다른 느낌이지만 주변의 공간 모습만 봐도 위엄이 굉장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수원 화성행궁쪽에는 이렇게 버스 및 열차. 택시등으로 투어가 가능하다. 시간표는 따로 정해져있으며, 티켓을 구매한 후에 이용이 가능하다. 의외로 넓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으로 투어를 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 듯 하다.

有料で運行されているが、ここではツアーバスなど、様々なコース別の交通手段が運行されています。 


市場とその他、数ヵ所に散らばっている観光コースがいっぱいに広い地域をバスツアーで活用が可能です。





약간 인사동과 삼청동을 섞은 듯한 빈티지 느낌의 골목이 있다. 이 골목은 화성행궁 옆에 위치해 있다. 다양한 먹거리 및 디자이너들의 상품들이 즐비되어 있는 공간이다.


ソウルの三清洞(サムチョンドン)と同じような多様な小物などを販売する距離がこのところ水原にもあります。



팔달문 시장을 시작으로 남문시장과 지동시장이 크게 묶여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伝統市場である八達門市場とチ・ドン市場。南門市場があります。



이쪽이 바로 남문시장과 지동시장 사이에 위치한 도보 다리로써 오후 4시 이후에는 백종원의 푸드트럭에 나왔던 그 푸드트럭들이 이 곳에 나와서 장사를 한다고 한다. 어떤 느낌인지 맛좀 보려고 했으나 너무 일찍 온 관계로 실패.

韓国で会うことができる多様な商品たちと食べ物が華城行宮と一緒に旅行しながら並べられています。



그리고 팔달문을 마지막으로 화성행궁 및 주변의 일부 모습 포스트를 끝낼려고 한다. 사실 너무 시간이 부족해서 돌아볼 시간도 없이 후다닥 올라오긴 했지만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한번 더 와볼 의향이 있을 듯 하다.


이 곳의 경우는 서울 사당역에서 7770을 타고 도보로 약 10분 이상 걸어와야 만날 수 있으며, 수원역에서는 11, 13, 13-3, 36, 39번 버스 외에도 다양한 버스가 있으니 확인 후 방문하는 것이 좋다. 


最後の八達門の写真です。


ソウルでは、舎堂(サダン)駅で7770路線バスを利用して徒歩約10分の距離にあります。


水原(スウォン)駅では11、13、13-3、36、39番バスのほか、様々なバスでアクセスすることができます。






반응형
그리드형
반응형
728x170

한국민속촌의 마지막 포스트이다. 요즘에는 카쉐어링도 워낙 보편화되어 있기도 하고 가까운 거리이기에 쉽게 가기 수월한 곳임에는 틀림없지만 이 마저도 여유로운 사람들의 이야기가 아닐까 싶다. 

물론 나도 여유로운 사람이 아니기에 참 어렵게 다녀온 곳이기도 하지만 나름대로 즐거웠던 듯 하다.




각종 한국 전통 악기 및 전통 기념품등을 판매하는 공간이 있었다. 정말 덥다는게 확 느껴질 정도로 의상부터가 시원한 삼베 한복 차림으로 단소를 깎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더불어서 전통 먹거리와는 다소 거리가 멀수도 있지만 꼬치와 인절미, 순대. 그리고 음료수 등을 판매하는 공간이 나오고 있었다.


韓国の伝統楽器と共に伝統記念品などを販売する空間が出ます。


そしてフードコートがあります。 

民俗村のコンセプトが目立った料理と共に今の時代の食べ物たちも一緒に混合して販売しています。 



이 곳이 바로 푸드코트. 가격이 엄청 비쌀꺼라는 예상과는 달리 의외로 나름 합리적인 가격에 되려 깜짝 놀랬다. 

하지만 너무도 사람이 많아서 사먹는 것은 실패. 

この所がまさにフードコートです。 

価格は意外に合理的な価格帯。 しかし、空席がなくて食事は失敗。

もちろんの入口にもフードコートはあります。



다리를 건너면서 만날 수 있는 울창한 나무와 더불어서 자그마한 호수에 자그마한 폭포. 자그마한 싱그러움을 만끽할 수 있었다.

湖の上の橋を渡っていると見られる小さな滝や木。

さわやかな香りを満喫することができます。 



바다쪽의 지방에 위치한 가옥들이 주류를 이루는 공간인데 주로 울릉도, 제주도, 진도 지방의 전통 가옥의 모습들이다. 

こちらの空間は海の近くに位置した家屋の形です。 

珍島(チンド)、済州島、鬱陵島(ウルルンド)地域別家屋が展示されています。




제주도 답게 흑돼지가 사육되고 있는 모습. 생각외로 악취는 없었다. 

그리고 초가집의 지붕이 날라가지 못하돌고 잘 묶어놓은 모습이 인상적이다.

済州島らしく黒豚が飼育されている姿。 

思いのほか悪臭はありませんでした。 

そしてわらぶきの屋根が飛ばさないようによく縛っておいた姿が印象的です。





이렇게 또 다리가 하나 나오는데 그 곳의 옆에는 이렇게 실내 박물관을 만날 수 있었다. 

시대상들을 사진 및 모형 등 피규어, 디오라마를 활용하여 전시되어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川が流れ橋をかすめて通る場合、室内の博物館があります。 


時代相らを写真と模型などフィギュア、ジオラマを活用して展示されている姿を確認することができます。




조선시대의 뗏목 체험도 가능한듯 하다. 

비록 보이는 바와같이 나무로 만들어서 단순히 안전성의 문제가 있을 것 같은데도 건조한 날자도 굉장히 짧고 튼튼하다는 안내문과 의외로 베테랑 느낌이 물씬 풍겨지는 뱃사공의 포스가 남달랐다. 

朝鮮時代の船に乗って体験が可能な空間もあります。 

もちろん有料です。



마지막은 입구쪽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한 놀이기구들이 모여있는 어트랙션 공간. 

특히 이곳의 귀신의 집이 굉장히 유명하다고 한다. 줄도 굉장히 긴듯.  

그리고 그 외에 다양한 기념품 샵과 놀이기구가 있으나 딱히 관심은 없기에 이 정도까지만.


다양한 전통 가옥의 모습도 좋지만 이 곳의 매력은 역시 공연과 이벤트가 백미인듯 하다. 그런 이유로 입장료가 비싸겠지만 뭐 딱히 문제는 없으니까 상관은 없다. 


最後は乗り物やアトラクションの空間があります。 

お化け屋敷がとても有名なのでそうか行列をしています。

伝統的な家屋や展示物もいいが、韓国民俗村は多様な演劇とイベントによってさらに大きな楽しみがある空間です。











반응형
그리드형
반응형
728x170

참..소재 쓸거 없어서 별거 별거 다 쥐어짜면서 쓰고 있다. 드디어 블로그에 대한 매너리즘이 많이 빠져버린 듯 하다. 그래도 꾸역꾸역 먹고 사는 일상이야기라 생각하고 열심히 올린다.


이 창신동, 동묘앞 동네는 참 먹을거 없기로 유명하다. 

맛집도 없고 그렇다고 주민들이 뭔가 한끼 식사를 해결하기 위해 찾아갈 만한 곳도 없는 현실성 떨어지는 동네 답다. 

(개인적으로 낙산냉면, 깃대봉냉면 맛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니다. 개인 취향이니 존중해주셈!)

 

그나마 이 동네에서 젊은 부부들이나 식사 한끼 때우기 귀찮은 가족들이 많이 찾는 식당인 국수나무 창신점에서 점심 식사를 한 후기이다.




매장은 다소 큰 편은 아니지만 나름대로 충실하게 배치된 듯한 사이즈의 아담한 식당. 다양한 퓨전 요리들 위주로 파는 듯 했다. 

주로 국수와 돈까스류가 주력인듯 싶다.




나의 선택은 초계국수. 그리고 다같이 먹을 메뉴로 왕돈까스. 각자 알밥과 모밀소바를 시켰다. 알밥과 모밀소바는 사진상에 없다. 

초계국수는 개인적으로 좀 톡쏘는 시큼한 맛에 시원함덕분에 입맛 없을때 한그릇 하기에는 좋았다. 물론 오이를 뺀 전제이지만 말이다. (개인적으로 오이 정말 싫어함.)


그리고 마지막으로 나온 돈까스. 소스는 별도로 따로 달라고 해서 받은 것이다. 뭐 돈까스야 정말 개판으로 하지 않는 이상 맛이 없을리는 없을테니 말이다. 

모양이 일정치 않다는 것은 진짜 고기를 두들겨서 썼다는 의미니까 이정도면 뭐 나쁘지 않다. 


전체적으로 적절한 수준이다.  맛집은 아니다. So So한 수준의 맛

그냥 이것 저것 따지기 싫을때 한끼 간단하고 빨리 해결하기는 좋은 식당의 수준. 


<직접 돈 주고 사먹은 후기임>








반응형
그리드형
반응형
728x170

어제에 이어서 한국 민속촌에 다녀온 후기이다. 정말 혼자 이것저것 따지기도 귀찮지만 어딘가 돌아다니고 싶은데 멀리는 못간다면 가볼만할 수 있을 듯 하다. 

물론 입장료는 쪼끔 비싸지만 그래도 예전의 어린이들 단체 견학 장소로 전락했던 그런 곳이 아닌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에서 볼 수 있었던 그 약 한사바리 쪽쪽 빨아놓은 미친 쇼를 볼 수 있는 공간으로 더욱 더 발전했으니까 말이다.

今日も昨日に連続して韓国民俗村の訪問記です。 

週末や休日にはこのような伝統文化展示館の他にも色々な面白くてゲニンの感じがする演劇が一望できます。



제 아무리 약을 한사바리 빨았다고 하지만 일단은 한국의 전통 양식을 볼 수 있는 공간이기 때문에 이러한 가옥 등 전시가 더욱 더 중요한 법이다. 

이 곳은 남부지방의 서민들이 살았던 가옥이라고 한다. 

현재로 치면 뭐 원룸이나 투룸 사는 가족들이 이런 집을 살았다고 하면 쉽겠지?

南部地方の庶民たちが暮らしていたという家屋の姿です。 

わらぶきの家と呼ばれる家です。



이 가옥은 역시 중산층 이상의 재산이 좀 많은 계급의 주민들이 살았단 한옥이다. 

흔히 초가집과 기와집으로 계급을 따질 수 있는데 겉보기에도 확연히 티가 난다.

お金が少し多くの大物たちが居住した家です。 瓦屋と呼ばれています。



이 곳 한국 민속촌은 이렇게 다양한 사극 방송의 배경지로도 활용이 된 듯 하다. 

흔히 알만한 탐나는 도다, 해를 품은 달 등 꽤나 인기를 얻었던 전통 드라마들은 다 한번씩 배경지로 촬영한 듯?


韓国の多様なドラマのロケ地としても活用されている公園です。



각종 곡식등을 찧는 도구인데 실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움직여보는 체험이 가능하다. 

어떤 꼬마아이가 만지고 있길래 어른의 마음으로 양보를 하고 사진만 찍어보기.. 

흑.. 나도 만져보고 싶었는데.. 

多様な穀物をひいてくれる韓国伝統の道具です。 

実際にも体験ができるように配置されています。


素敵ではありませんか。 すぐ前には木がある池。そしてその後は壮大な建物。

관아쪽으로 넘어오게 되면 이렇게 투포 및 줄넘기 등 당시의 시대에 유행했던 운동기구들의 체험이 가능하다.

朝鮮時代の警察署の前へ行けるようになれば、当時の時代の運動器具を体験できるように配置されています。



당시 방문한 날 12시반에 꽤나 큰 연극이 열리고 있었다. 

물론 사람이 너무 많아서 보진 못했지만 음성만 들어도 굉장히 신나던 느낌이 들었다. 

当時、訪問した日の12時半にはこの建物の中で公演があったが、人が多すぎて観覧しにくかったんです。 

公演のスケジュールは入場券を提出していた入り口の方にパンフレットで準備ができています。



대표적인 운송 수단이었던 말도 체험이 가능했다. 

当時の時代の代表的な運送手段だった言葉も試乗体験ができました。 (有料)



이 곳이 정말 놀라운 공간이었다. 

실제 민속촌에서 운영하는 곳이지만 이렇게 점술을 하는 공간도 있었다. 

물론 이 것도 유료. 

굿이나 판을 벌리는 그런 공간이라기 보다는 철학관과 같이 글풀이로 운세를 보는 곳 이었다. 

ここには独特にも点を観るところもありました。 

漢字や文章に社主を見る場所でした。 もちろん有料。



이 외에도 다양한 가옥과 체험공간이 많이 있으나 이 외의 공간은 직접 가서 관람하길 바란다. 

날이 더워지면 더 보기 힘든 곳이 되겠지만 정말 공연 등이 지치고 웃기 힘든 일상에서 그나마 웃게 해주는 역할을 해주는 듯 하다.



반응형
그리드형
반응형
728x170

평일에 명동갈 일이 없기도 하지만 너무 외국인 천국이기도 하고 직장이 명동이 아닌 이상 명동은 요 최근 들어서 잘 안가게 되는 곳으로 전락된 듯 하다. 

지난 며칠전 종로쪽에 일이 있기도 했고 스파오 세일러문 컬래버레이션 에디션도 보고 싶기도 해서 잠시 명동갔다가 집에서 식사하기도 귀찮고 마침 배가 고파가~(??!!) 일본계 햄버거 브랜드인 모스버거 명동점에서 간단한 저녁시사를 한 후기이다.



명동이라고는 하지만 2호선 을지로입구역에서 오히려 더 가까운 곳에 위치한 모스버거 명동점. 

일본 여행을 가는 사람들이라면 한번쯤 들어봤고 맛 봤을 법한 그 모스버거의 오리지널 직영 지점이다. 

매번 일본 햄버거 맛집이라고 올라오기 때문에 일본에나 가야 먹을 수 있지만 이제는 한국에 들어온지 꽤 몇년 된 셈이다.



메뉴는 대략 요런식. 

그래도 뭐니뭐니해도 역시 오리지날이 최고라고 모스치즈버거 세트로 주문을 하였다. 

그리고 음료수는 모스버거의 트레이드 마크인 메론소다로 변경. 나머지는 그대로. 



주문을 하고 나면 음료수는 먼저 주고 번호판과 같이 편한 자리에 가서 앉아있으라고 한다. 

여타의 다른 패스트푸드 프렌차이즈와는 달리 버거류는 내 자리로 직접 갖다주는 방식이다. 

번호를 보고 갖다주기 때문에 내가 어떤 메뉴를 주문했는지 잘 알고 갖다주는듯 하다.



그렇게 내 번호를 보고 놓고간 세트메뉴. 모스치즈버거 세트이다. 햄버거와 사이드 메뉴인 후렌치 후라이는 이렇게 바구니에 담아서 준다. 

만들어진 것을 주는 것이 아닌 주문한 메뉴가 그 자리에서 만들어져 자리로 갖다주는 주문 후 조리 방식을 택하는 듯 싶다. 

뭐 요즘은 다들 그런 식으로 하지만 반조리체가 아닌 재료를 그때 그때 조리해서 나온 느낌?



감자튀김은 흡사 KFC처럼 통통하지만 조금 더 바삭하게 튀긴 느낌이며, 모스버거의 저 미트 소스는 뭐 말할 거 없는 모스버거만의 특제의 맛이기에 맛이 없을 수 없다. 

빵도 바로 그 자리에서 따뜻하게 데워서 주는건지 의외로 빵의 가장자리가 잘 익힌 듯한 느낌이 들었다. 


이상하게 전국에 매장을 많이 확장을 못하는 듯 하다. 

그도 그럴것이 맥도날드도 그렇고 버거킹, 롯데리아, KFC도 매장을 계속 줄여나가는 형국이라서 그런거일까? 아.. 파파이스를 잊었네...




솔직히 돈카츠 버거하고 새우버거가 굉장히 궁금하긴 하지만 나중에 한번 먹어봐야겠다.


<내 돈 주고 직접 사먹은 후기임>




반응형
그리드형
반응형
728x170

서울에서 가까운듯 먼듯 애매모호 하지만 일단은 수도권 생활권에 같이 수렴되어 있는 공간인 경기도 용인시. 예전 어렸을때 할아버지 할머니 손잡고 동대문역 앞에 있는 금성관광에서 민속촌까지 가는 관광버스를 타고 민속촌을 갔던 기억이 있다.


그로부터 약 20년후. 다시 한번 찾게 된 민속촌. 솔직히 기억에 많이 남지는 않지만 이제는 기억에 많이 남을지도 모르겠다. 그렇게 다녀온 한국 민속촌의 후기이다.

今日は韓国民俗村に行って来た話のものです。


엄청난 규모의 주차장과 또 다른 엄청난 규모의 입장권 판매소. 저 곳이 바로 흔히 방송에서도 많이 나오고 페이스북 등 다양한 SNS에서 후기가 많이 올라오는 그 곳. 한국민속촌의 입구쪽이다. 

写真の姿は韓国民俗村の入り口と入場券販売所の姿です。



티켓의 가격은 보이는 바와 같이 이렇다. 성인기준 18,000원. 처음에는 문체부나 한국관광공사 산하 기업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나 엄연히 개인이 운영하는 민간 영리기업이라고 한다. 그래서 입장료가 상당히 비싸다.

入場料は成人基準18,000ウォンです。 現金とカードの決済が可能です。



티켓 비용을 보면 정말 눈물이 쏘옥 빠질 정도로 비싸지만 뭐 어쩔수 없지. 정말 저렴했던 기억은 예전 어렸을 때의 기억으로.




이렇게 생긴 곳에서 티켓 확인을 거친 후에 입장이 가능하다. 일부 팔찌형 티켓을 받아가는 사람들도 있는데 그 티켓은 놀이기구 등을 이용할 사람들이 자유이용권 명목으로 받아가는 티켓이다.


このようにできたところでチケットの確認を経た後に入場が可能です。 


一部のブレスレット型のチケットの人らもいるが、そのチケットは乗り物などを利用する人たちが自由利用権の名目で受け取って行くチケットです。



자세한 민속촌의 안내지도. 규모가 꽤 넓다. 대략 1~2시간 정도를 돌면 볼 수 있는 코스. 안내도는 따로 팜플렛으로도 준비되어 있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구경할 수 있을 것이다.

韓国民俗村の案内図です。 地図は別途のパンフレットも提供されるようです。 (英語、日本語、中国語)


입구에서부터 먹거리촌이 나온다. 물론 가격은 좀 쎈편. 하지만 한옥들과 나무 사이로 울궈진 공간에서 간단한 식사를 한다는 것은 정말 즐겁지 아니한가 생각을 해볼 수 있을 것이다.


野外食堂とテラスがあります。 主に巡回を全部終えた後に食事をする方が多いです。



여기서부터 각 지방별, 시대별 가옥 및 생활상을 볼 수 있는 문화 공간들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주로 조선,고려시대의 배경이 주를 이루며, 옛날 시대 특유의 농촌 냄새와 향냄새가 진동한다.

ここから韓国の伝統時代の家屋を会うことができる空間が出ます。



각종 유적에서도 보기 힘든 초가집과 그밖에 거리들. 이 곳 민속촌에서는 다행이도 신나게 만날 수 있다.



계급사회와 왕권제도를 거쳐서 현재에 이른 대한민국의 우리가 알지 못한 과거의 모습을 고스란히 볼 수 있는 공간이 즐비했다.

過去、大韓民国の生活ぶりを丸ごと見ることができる家屋と距離。 そして多様な姿を見ることができます。



....??? 소...??? 관상용일까? 과거 농경생활이 주를 이뤘던 시대에 소는 정말 중요한 수단임에는 확실하지만 진짜 소가 있을 줄이야..

過去の農業が重要な産業だった韓国は、牛は本当に重要な動物でした。



옹기생활관이라는 명칭이 있는데 바로 저 곳에서 옹기와 관련된 다양한 체험이 가능하다고 한다. 봉화산역에 있는 옹기테마공원하고는 다른 느낌이겠지?


伝統の壺の生活館です。 あそこで韓国伝統の壺の体験が可能だそうです。





각 시대별. 지역별 가옥의 특성이 나오게 되는데 같은 한국이어도 기후가 지역별로 편차가 있기 때문에 다소 집의 형태 및 구조가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약 3편 정도로 나눠서 포스팅할 예정이다.




반응형
그리드형

+ Recent posts